비만도 계산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BMI 계산 방법에 대해 소개합니다. 또한 BMI 계산 및 비만도 결과 확인에 유용한 사이트인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웹페이지 사용 방법 등의 정보에 대해 안내합니다.
'BMI'란 'Body Mass Index'의 줄임말이며, '신체질량지수' 또는 '체질량지수'라고도 부릅니다. 대부분 체질량지수 혹은 BMI 라는 약자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BMI 지수를 통해 간단하게 자신의 비만도를 측정해 볼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BMI 계산 방법, BMI 계산기 등에 대한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BMI 계산 방법
사실 BMI 계산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자신의 신장(키), 체중(몸무게) 정보만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BMI (체질량지수) = 몸무게(kg) / 키(m)²
즉 BMI는 본인의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값을 통해 자신의 비만도를 매우 간단하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비만의 정도는 몸무게가 아닌 몸의 지방량을 고려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몸의 지방량만 측정하는 것은 간단하게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이에 표준체중보다는 체지방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계산이 매우 간단한 BMI 지수는 의료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BMI 계산식은 매우 간단하지만, 매번 키의 제곱값을 계산하여 몸무게 값과 나누는 작업은 귀찮은 일입니다. 이에 다양한 사이트에서 BMI 즉 체질량지수를 사용하여 비만도를 계산 후 비만도 결과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 중 우리가 가장 손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는 바로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일 것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성별, 신장, 체중 및 나이 정보를 입력하고 '계산' 버튼을 클릭하면, 나의 BMI 지수 값과 함께 현재 나의 비만도 정도를 시각적으로 바로 알려줍니다. 이를 통해 나의 BMI 결과가 저체중, 정상범위, 과체중, 비만, 고도비만 단계 중 어느 곳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를 통해 본인의 BMI 및 비만도 계산을 해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네이버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 네이버 통합검색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의 네이버 통합검색 결과입니다.
search.naver.com
단, 19세 미만은 계산된 체질량지수에 대한 비만도를 표준 성장도표에서 확인하라고 질병관리청에서는 안내하고 있습니다. 즉, 어린이,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등은 성장도표를 통해 확인하라는 것인데, 표준 성장도표 관련 내용은 아래 글을 통해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으니 필요시 참고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최신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신체발육 표준치 포스터, 성장상태 측정계산기)
최신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신체발육 표준치 포스터, 성장상태 측정계산기)
자녀의 신장, 체중 등 성장상태가 정상적인지 알아보기 위한 최신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신체발육 표준치 포스터, 성장상태 측정계산기를 통해 우리
bigmo.tistory.com
개인적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몸무게에 민감한 여자분들이 있다면 BMI 계산을 통해 조금이나마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저는 스스로 당연하게 비만도 정상범위가 아니라고 생각하는데, 그래도 아직까지는 정상범위라고 알려주고 있으니까요. 재미삼아 한번쯤 계산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BMI 계산 방법, 네이버 비만도 계산기 사용 방법 및 비만도 결과 확인 정보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주기적인 BMI 및 비만도 계산을 통해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소아청소년 성장도표 (신체발육 표준치 포스터, 성장상태 측정계산기) (0) | 2022.07.17 |
---|